top of page

8/24 서남아 코로나 동향


코로나 현황 : 3,106,348명 확진, 200,525명 신규확진, 57,542명 사망


현지 정부 대응 정책 동향


ㅇ 인도 코로나19 누적확진자 3백만 명 돌파… 2백만 돌파 이후 15일만

- 금일(24일) 기준 인도의 코로나19 누적확진자 수는 3백10만6천3백49명을 기록하였으며, 지난 6일(목) 2백만 명을 넘어선 이후 15일만인 22일(토) 3백만 명 돌파

- 인도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현재 총확진자 수 대비 실질 확진자 비율은 23.24%에 불과하며, 회복률과 사망률 또한 각각 75.26%와 1.86%를 보이며 이는 엄격한 州별 봉쇄조치 및 검사 수 확대의 효과로 판단

*Hindustantimes https://bit.ly/31pH2Ki 08.24

ㅇ 인도정부, 금년 연말까지 코로나19 백신 확보 가능성 기대

- 금일(24일) 현지 언론에 따르면, 하르시 바르단 인도 보건복지부 장관은 오는 연말까지 코로나19 백신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으며, 현재 인도內 유력 백신 개발 제약사 3개사 중 ‘세럼(Serum)’은 차주 3상 임상실험 착수 예상

- 더불어 인도의학연구위원회(ICMR)는 인도 및 전 세계의 백신 개발 현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온라인 포털을 구축할 예정이며, 내달 첫째 주부터 운영 예정

*Indian Express https://bit.ly/2YKl6I7 08.24

ㅇ 영화·TV 프로그램 제작 중단 5개월 만에 재개… 관련 지침안 발표

- 23일(일) 프라카쉬 자바데카르 인도 정보통신부 장관은 코로나19로 인해 지난 3월부터 5개월간 중단된 바 있는 영화·TV 프로그램 제작을 재개하였으며, 관련 표준운영지침(SoP) 발표

- 지침안에 따르면, 카메라에 노출되는 연기자 이외 모든 인원은 마스크 착용 및 보건복지부의 지침을 준수해야 하며, 고위험군(60세 이상)의 경우 세트장 출입 불가 및 현장 온도 24-30°C 유지 권고

*Hindustantimes https://bit.ly/3hpZBUb 08.24


주재국 현지기업 동향


ㅇ 인디고(IndiGo), ’22년까지 수익 창출에 난항 예상

- 23일(일) 관련 언론에 따르면, 현재 인디고의 운항 편수는 32% 감소한 규모이며, 동 수준을 유지할 경우 코로나19 여파로 인해 향후 18개월 동안 수익을 기대하기 어려울 것으로 발표

- 지난 2분기 동사의 세전 손실은 3억7천9백만 달러로, 이는 약 2억2백만 달러의 전년동기 규모에 비해 대폭 증가한 수치이며 봉쇄조치로 인해 해당 분기 매출액은 91% 감소

*CNBC https://cnb.cx/34qolb1 08.23

ㅇ 엡실론(Epsilon), 인도 최초의 리튬이온배터리 부품 생산공장 설립

- 금일(24일) 현지 언론에 따르면, 뭄바이 콜타르(coal tar) 관련재 기업인 엡실론 카본은 향후 5년간 6천7백만 달러를 투자하여 카르나타카州에 연산 5천 톤 규모의 리튬이차전지 생산공장 설립 승인

- 해당재는 리튬이온배터리의 25%를 차지하는 주요 부품으로, 현재 중국이 세계 수요의 80%를 공급하고 있으나 동 생산공장 설립으로 공급망 다변화 목표

*Economictimes https://bit.ly/3jeJ9Xr 08.24


현지 진출 국내기업 동향


ㅇ 기아차, ‘쏘넷(Sonet)’ 사전예약 개시 하루 만에 6천 대 돌파

- 기아차가 지난 20일(목) 개시한 소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쏘넷’이 사전예약 첫날 6천5백23대의 주문을 기록하며 역대급 흥행 기대

* ’19년 8월 출시된 셀토스(Seltos)의 첫날 사전예약 건수는 6천46대

- 기아차는 내달 첫째 주 ‘쏘넷’ 출시를 통해 B-세그먼트* 시장 내에서 현대차의 ‘베뉴(Venue)’, 마힌드라의 ‘XUV300’ 등과 겨룰 예정

* B-segment: 전장 길이 기준 3천5백 ~ 3천8백50(mm) 이하의 소형차

*Times of India https://bit.ly/34tVbYS 08.21

ㅇ 한전 KPS, 인도 현지 발전소 인수 위한 양해각서(MoU) 체결

- 금일(24일) 현지 언론에 따르면, 한전 KPS는 인도의 전력판매기업 ‘마니카란(Manikaran Power Ltd)’과 현지 발전소 인수 및 운영 목적의 상호협력 양해각서를 체결하였음

- 양사는 발전소 인수와 더불어 향후 기술 및 자원 분야에 대한 협력 지속을 목표하고 있음을 발표

*Economictimes https://bit.ly/3hoC7Pd 08.24


현지 비즈니스 환경 변화


ㅇ 인도정부, FTA 수입품에 대한 ‘원산지 규정’ 관련 기준 발표

- 23일(일) 현지 언론에 따르면, 인도정부는 저품질 제품 수입 및 제3국 수입품의 우회 덤핑을 막기 위해 FTA 수입품에 대한 원산지 규정 시행 기준을 발표하였으며, 내달 21일(월)부터 시행 예정

- 해당 기준에 따라 정부는 제3국의 수입품에 FTA 체결국의 라벨만을 부착하여 덤핑하는 사례를 막고, FTA 혜택으로 인한 과도한 수입 등으로부터 자국 산업 보호 목표

*The Economic Times https://bit.ly/32pbqn8 08.23

ㅇ 인도 디지털 결제 시장, ’25년까지 3배 증가할 것으로 전망

- 인도 컨설팅기업 ‘레드시어(RedSeer)’의 보고서에 따르면, 인도 디지털 결제 시장은 향후 5년간 3배 이상 증가하여 약 9조5천7백억 달러 규모를 달성할 것으로 예상

* 회계연도’19-20 인도 디지털 결제 시장 가치: 약 2조9천억 달러 (RedSeer)

- 더불어 모바일 결제 사용자의 경우 현재 1억6천만 명에서 약 5배 증가한 8억 명 규모로의 급증이 예상되며, 이는 정부의 전폭적인 디지털 관련 정책 및 오프라인 상점의 디지털 결제 보급률 증가 등에 따른 영향으로 파악

*Hindustantimes https://bit.ly/3j3S39O 08.23

방글라데시(다카


ㅇ 파키스탄 제약산업, 향후 세계에서 가장 빠른 성장세 기대

- 글로벌 시장조사기업 ‘아이큐비아(IQVIA)’의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4년간 파키스탄 제약사의 연평균성장률은 13.1%로, 다국적기업의 평균치인 9.34%에 비해 높은 수준을 보임

- 파키스탄은 터키, 이집트 등과 더불어 ’23년까지 가장 크게 성장할 것으로 예상하며, 향후 10년 이내에 두 배 규모 달성 기대

- ’19-20 파키스탄 경제조사에 따르면, 해당 산업 규모 감소율은 전년동기 8.66%에 비해 회계연도 ’20년 기준 5.38%로 둔화

*Business Recorder https://bit.ly/3gq7GXo 08.24



Recent Posts

See All

1. 14개국, IPEF 공급망 협정(필라 2) 타결 선언 중국 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미국, 인도, 한국, 호주, 일본,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등 14개국이 토요일 인도-태평양 경제 프레임워크(Indo-Pacific Economic Framework for Prosperity, IPEF)*에 따른 공급망 협정에 대한 "실질적 협상타결"을

1. 인도 재무부, 21개국 펀딩에 대해서는 엔젤세 면제 계획 인도 재무부는 미국, 영국, 독일, 프랑스 등 21개국의 비거주자가 인도 비상장 스타트업에 투자할 경우 앤젤세(angel tax)*가 부과되지 않는다고 발표함. *스타트업들이 시장의 기업가치 평가를 넘어서는 투자를 유치했을 때 부과되는 세 그러나 이 목록에는 싱가포르, 네덜란드, 모리셔스와 같은

1. 인도 중앙은행(RBI): 인플레와의 전쟁 아직 끝나지 않았다 인도 중앙은행(Reserve Bank of India, RBI) 총재 샥티칸타 다스(Shaktikanta Das)는 수요일 인플레이션과의 전쟁이 끝나지 않았으며 인플레가 완화되는 조짐이 있지만 당국은 계속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강조함. "우리는 경계를 늦추지 말아야 하며 자만할 이유가 없다.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