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8/3 서남아 코로나 동향


코로나 현황 : 1,803,695명 확진, 164,825 신규확진, 38,135명 사망


현지 정부 대응 정책 동향


ㅇ 인도 내무부 장관, 주 총리, 주지사 등 정치권 감염 확산

- 금일(3일) 현지 언론에 따르면, 아미트 샤 인도 내무부 장관은 2일(일)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고 입원

- 이와 더불어 BS 예디유라파 카르나타카州총리, 반와릴랄 타밀나두州주지사 등 또한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으며 정치권감염 확산세

*Hindustantimes https://bit.ly/33k9qi8 08.03

ㅇ 인도정부, 15일(일) 국가 디지털 건강 계획(NDHM) 발표 예정

- 금일(3일) 현지 언론에 따르면, 차주 독립기념일 연설에서 모디총리는 모든 국민에게 헬스ID 부여, 건강기록 및 의료시설 정보디지털화 등을 통해 총체적인 디지털 건강 생태계 형성을 도모하는 디지털 플랫폼인 NDHM 도입 발표 예정

- 해당 계획은 헬스ID, 개인 건강기록, 의사 및 의료시설 정보 디지털화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추후 전자약국 및 원격 진료 서비스 등으로 확대될 예정

*The Times of India https://bit.ly/3a2q1bP 08.03


ㅇ 아삼州정부, 봉쇄조치 완화 3단계 관련 지침 발표

- 2일(일) 오후 7시부터 14일(금) 오후 7시까지 기간 동안 역내 쇼핑몰과 체육관 등 운동 시설은 평일에 한해 특정 구역에서 운영 가능하며, 월요일과 화요일의 경우 구역間이동은 사전 허가 없이 가능

- 레스토랑 및 기타 숙박업은 정부와 해당 지역의 위생 및 사회적 거리두기 지침에 따라 운영 재개

*Timesnow https://bit.ly/2PiDbYD 08.03


ㅇ 푸네州정부, 특정지역 봉쇄조치 연장과 더불어 완화 지침 발표

- 금일(3일) 현지 언론에 따르면, 주정부는 감염 확산 지역에 대해 오는 31일(월)까지 봉쇄조치를 연장하였으며, 해당 지역은 특정 시간(오전 8시~오후 12시, 오후 5시~6시)에 한해서만 생필품 공급 가능

- 기타 지역에 대해서는 중앙정부의 봉쇄조치 완화 3단계에 따라상점 및 교육기관의 사무실 운영 재개, 특정 조건에 부합하는 경우 택시·개인차량 및 오토릭샤 허용 등 봉쇄조치 부분적 완화

* 택시 및 개인 사륜차: 승객 3인 이하 탑승, 오토릭샤: 승객 2인 이하 탑승

- 단 65세 이상 노인 및 10세 이하 아동의 경우 응급상황을 제외한 이동은 엄격히 금지되며, 마스크 착용 및 사회적 거리두기 중요성 강조

*India.com https://bit.ly/3fpCQxA 08.01


주재국 현지기업 동향


ㅇ 화웨이, 오는 6일(목) 초저가 스마트폰 ‘아너(Honor)’ 발표 예정

- 금주 발표 예정인 저가형 스마트폰 ‘아너 9A’와 ‘아너9S’는 화웨이가 인도에서 출시한 첫 실용모델로, 두 제품 모두 구글 대신 자사어플리케이션 갤러리 탑재

- ‘아너 9S’의 경우 판매가 약 10만 원(6,499루피)이며, ‘아너9A’는 약 16만 원(9,999루피)으로 낮은 가격대 형성

*Gadgets https://bit.ly/3hUhgDg 07.31

ㅇ 샤오미, 금주 보급형 스마트폰 모델 ‘레드미(Redmi)9’ 출시 예정

- 오는 4일(화) 샤오미는 최신 보급형 스마트폰인 ‘레드미9 프라임’ 모델을 출시할 예정이며, 6일(목)부터 이틀 간 ‘프라임 데이’ 프로모션 진행 예정

- 제품 관련 세부정보는 발표된 바 없으나, 업계 관계자에 따르면 지난 6월 스페인에서 발표된 ‘레드미9’ 모델의 리브랜드 버전이 될 것으로 예상

*Gadgets https://bit.ly/3k7HgwU 07.30



현지 진출 국내기업 동향


ㅇ 더플랜지, 영어회화어플리케이션‘오딩가잉글리시’ 힌디어버전출시

- 금일(3일) 업계에 따르면, ICT-문화융합센터 입주기업인 더플랜지가 지난 1일(토) 자사 저학년 대상 AI 영어회화 어플리케이션인 ‘오딩가 잉글리시’의 힌디어 버전 출시

- 동사는 교육시설 폐쇄로 인한 비대면 온라인교육 수요 증가, 인도 모바일 시장 규모 등을 파악하여 향후 출시될 다국어 버전의 첫 번째로 해당 버전을 출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인도 시장에 K-에듀 전파 목표

*Etnews https://bit.ly/31c4Dga 08.03


ㅇ 삼성전자, 2분기 인도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 상승 기록

- 지난 2일(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2분기 삼성전자의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은 26%로, 1분기 16%에 비해 한 계단 상승한 2위 기록

*1위: 샤오미(29%)

- 프리미엄 스마트폰 시장의 경우 28%로 2위를 기록했으며, 1위인 중국의 원플러스와 점유율 차이는 1%p 미만

- 업계에 따르면 이와 같은 점유율 상승은 인도 내부의 다양한 공급망 형성, 저가 스마트폰 출시로 인한 판매 증대 등에 따른 결과

*Business World https://bit.ly/39SopRJ 08.03


ㅇ 기아차, ‘셀토스(Seltos)’ 시장 진출 1년만에 판매량 2위 기록

- ’19년 8월 출시된 ‘셀토스’의 지난 7월 판매량은 총 8천 270대로,현대차 ‘크레타(Creta)’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판매량

*현대차(크레타): 1만1천549대

- 오는 7일(금) 공개 예정인 소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쏘넷 (Sonet)’ 출시 이후 기아차의 시장 내 입지 확대 예상

*Rushlane https://bit.ly/39T1Wnm 08.02


ㅇ (파키스탄) 롯데케미칼 파키스탄 법인, 현지 회사에 초과전력 판매

- 30일(목) 현지 언론에 따르면, 롯데케미칼은 파키스탄 최대 민간전력회사인 K-일렉트릭(K-Electric)에 초과전력 판매 착수

- K-일렉트릭은 파키스탄 카라치 지역의 전력 공급을 담당하며,구체적인 거래 규모는 밝혀지지 않았으나 해당 거래를 통해 현지 전력 공급에 기여할 것으로 보임

*Mettisglobal https://bit.ly/2Dw2gwe 07.30


현지 비즈니스 환경 변화


ㅇ 가구, 장난감, 스포츠 용품 수입에 비관세 장벽 부과

- 인도 정부는 가구, 완구, 스포츠 용품의 수입에 대하여 라이선스를 요구할 것으로 기대, 이는 해당 품목의 수입을 줄이고 국내 생산을 장려하려는 조치

- 정부는 인도의 수입 의존도를 줄이는 데 더 높은 관세를 효과적이지 않다는 것을 파악하고, 비관세 장벽으로 방향을 변경

- 추가로 수입 제한이 고려되는 산업의 수는 인도가 제조 이점을 가지고 투자 유치를 중점적으로 수행하려는 산업 20여개 부문

*Economic Times (8.3)

ㅇ 7월 인도 통합결제인터페이스(UPI) 거래 14.9억 건 기록

- 7월 인도 통합결제인터페이스(UPI) 거래 실적은 지난 6월 대비 11% 성장하여 14.9억 건을 기록. 이는 인도에서 해당 디지털 결제 방식을 도입한 이래 최고 거래 건수임. 인도는 2023년까지 세계 디지털 결제 시장에서 2.2% 점유율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되며, 해당 시장의 규모는 2025년까지 12.4조 달러에 이를 전망

* Business Standard, 8.3


ㅇ 인도정부, 정규 교육과정 제2외국어 과목에 한국어 채택

- 현지 언론에 따르면, 인도정부는 지난 30일(목) 중등교육 제2외 국어 권장 과목에 한국어를 신규 편입한 교육 정책 발표

- 반면 인도정부는 ‘92년 이후 28년 만에 개정된 동 정책의 기존 권장 과목에서 중국어를 제외하였으며, 교육체계 세분화 및 제 2외국어 과목 다양화 목표

*Zeenes https://bit.ly/2Pjiz2f 08.01



Recent Posts

See All

1. 인도 중앙은행, 오는 4월 기준금리 6.75%로 인상 전망 인도 중앙은행(RBI)는 인플레이션에 대응코자 다음 주 기준금리(repo rate)를 6.5%에서 6.75%로 인상할 전망임. 이로써, 2022년 5월 4.0%에서 6회 연속 총 2.75%가 인상될 것으로 예상됨. 기준 금리 인상시 대출금리도 인상되면서 견조한 펀더멘탈에도 불구하고, 시장 수요

1. 인도 상품-서비스 수출, 7,600억 달러 기록 예상...역대 최고치 기록 전망 피유시 고얄(Piyush Goyal) 인도 상무부 장관은 지난 화요일 인도 상공회의소(ASSOCHAM) 연례회의에서 인도 상품 및 서비스 수출액이 역대 최고인 7,500억 달러를 넘어섰으며 이번주 금요일을 기점으로 7,600억(전년대비 12.4% 증가) 달러를 돌파할 것으

1. SVB 등 은행권 사태로 인도 IT 업계 채용 둔화 예상 미국과 유럽 소재 글로벌 은행 위기가 인도 IT 산업에도 부담을 줄 가능성이 있음. IT 산업은 다음 회계연도에 순인력 증가율(net headcount growth)이 절반 가까이 줄고, 인사전략에도 구조적인 변화가 있을 것으로 예상됨. 인도 IT산업은 은행·금융서비스·보험(Banking, fi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