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8/21 서남아 코로나 동향


코로나 현황 : 2,905,823명 확진, 68,898명 신규확진, 54,849명 사망


현지 정부 대응 정책 동향


ㅇ 인도 코로나19 누적확진자 3백만 명 육박…실질확진자 비율은 최소치

- 인도 보건복지부 발표에 따르면 코로나19 누적확진자 수는 금일 (21일) 6만8천8백98명 추가되어 2백90만 명을 넘어섰으며(보건복지부), 일일 확진자 수 기준 세계 최다 규모 유지

- 반면 20일(목) 기준 코로나19 실질확진자 성장률은 지난 7월 말(28%)에 비해 대폭 감소한 7%를 기록하며 둔화세에 돌입하였으며, 현재 州별로 상이한 확산세에 따라 추후 전망 예측 가능

*Livemint https://bit.ly/3hkNK9G 08.20

ㅇ 카르나타카州정부, 인공지능(AI) 기반의 헬스케어 캡슐 출시

- 20일(목) 현지 언론에 따르면, 카르나타카 정부는 포르투갈 사물인터넷(IoT) 기업인 ‘이노웨이브(InnoWave)’와 협력하여 부족한 의료인프라 보완을 목표로 인공지능 기반의 이동형 의료 캡슐 개발

- 해당 캡슐은 음압 병실 형태로 제작되어 9개의 병상을 수용할 수있으며, 산소 공급 장치, 모니터링, 산소농도 측정기 등의 기능 수반

*Livemint https://bit.ly/32r5MRJ 08.20

ㅇ 인도정부, 코로나19 백신 1차 물량으로 5백만 건 발주 예상

- 금일(21일) 현지 언론에 따르면, 인도정부는 현재 군 병력, 일선 근무자 및 특정 집단을 대상으로 하는 백신 최초 접종을 위해 약 5백만 건의 물량을 1차로 주문 예상

- 현재 인도內3개 제약사가 코로나19 백신의 단계별 임상실험을 진행중이며, 최근 정부는 백신 접종의 우선순위 및 공급체계 등에 대한논의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짐

*Times Now https://bit.ly/3hhI9Rr 08.21


주재국 현지기업 동향


ㅇ 라바(Lava), 심박수 및 혈압 측정 가능한 피처폰 출시

- 20일(목) 인도 스마트폰 브랜드 ‘라바’는 심박수와 혈압 측정 가능한센서가 내장되어있는 최초의 피처폰인 ‘라바 펄스(Lava Pulse)’를출시하였으며, 가격은 약 26달러(1,949루피)

- 해당 제품은 아마존, 플립카트 등과 같은 온라인 플랫폼과 더불어

인도 전역의 오프라인 매장에서 판매되며, 영어와 힌디어를 포함한총 7개국어 설정 가능

*Times of India https://bit.ly/3iYLq8T 08.20

ㅇ 아마존 페이, 디지털 금 판매 및 보관 플랫폼 출시

- 금일(21일) 현지 언론에 따르면, 아마존 페이는 온라인으로 금을 구매하고 보관할 수 있는 금고 형식의 플랫폼인 ‘Gold Vault’를 출시하였으며, 해당 플랫폼을 통해 제휴사인 ‘세이프 골드(SafeGold)’에서 최소 5루피(79원) 이상부터 판매

- 여타 현지 기업으로는 페이티엠(Paytm), 모비퀵(MobiKwik) 등이 각각 ’17년과 ’18년에 동 서비스를 도입한 바 있으며, 페이티엠은 지난 4월 해당 서비스를 통해 총 37kg의 금을 판매한 것으로 나타남

*Hindustantimes https://bit.ly/2Q9RQWk 08.21


ㅇ 애플, 인도 현지에서 아이폰12 시리즈 생산 고려

- 비지니스 스탠다드(Business Standard) 보고서에 따르면, 애플은인도 정부의 ‘Make In India’ 정책에 맞춰 2021년 중반부터아이폰12 시리즈를 인도 현지에서 생산할 계획임.

- 애플의 주요 위탁 생산 업체인 대만계 위스트론(Wistron)이벵갈루루 인근 나라사푸라(Narasapura) 공장에서 새로운 아이폰시리즈를 생산 예정

* INC42, 8.19.


ㅇ 이탈리아 가스공급사 SNAM, 인도 가스 파이프 라인 투자에 주목

- 이탈리아 천연가스 운송공급업체 SNAM S.P.A의 최고 경영진은 투자 기회와 규제 환경을 이해하기 위해 인도의 석유장관, 공무원, 규제 기관 및 업계 임원들과 논의함.

- 수소 연료, 가스 저장 및 소규모 액화 기술을 포함한 여러주제에 걸쳐 인도 투자에 관하여 논의가 되었음.

* http://economictimes.indiatimes.com/news



현지 진출 국내기업 동향


ㅇ LG전자, 인도 등의 주거개선 지원을 위한 기부 캠페인 진행

- 금일(21일) 현지 언론에 따르면, LG전자는 한국해비타트와 협력하여인도·케냐·베트남의 주거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디지털 기부 캠페인을 시작하였으며, 영상 촬영 후 소셜미디어를 통해 참여하는 형식

- 또한 LG전자는 참가자 명의로 가전제품 및 생활필수품을 포함하여약 30만 달러를 기부할 예정이며, 기부금을 통해 현지 주거·교육·위생환경 개선에 기여 목표

*Devdiscourse https://bit.ly/3gfPoYX 08.21

ㅇ 현대차, 내년 1분기 친환경 수소자동차(FCEV) ‘넥쏘’ 출시 예정

- 20일(목) 관련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는 ’19년 출시한 자사 전기차인 ‘코나EV’에 이어 ’21년 1분기 수소자동차 ‘넥쏘’ 출시 예정

- 현대차는 출시에 앞서 뉴델리 지역을 중심으로 수소충전소 등의인프라를 구축하기 위해 정부와 조율 중인 것으로 알려졌으며,동 출시로 현지 친환경차 시장 내 거점 확보 목표

*아주경제 https://bit.ly/3hiBg2w 08.20


ㅇ 포스코인터내셔널, 파키스탄 LNG 공급입찰 수주업체로 최종 선정

- 20일(목) 현지 언론에 따르면,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아제르바이젠국영 에너지기업인 소카(SOCAR) 트레이딩과 더불어 파키스탄LNG 기업 PLL이 공모한 액화천연가스(LNG) 공급입찰에서최종 수주업체로 선정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지난 12일(토)부터 13일(일)까지 7.9673%의 유가환산기울기로

최저 입찰을 낙찰받은 바 있음

- 해당 공급입찰에 대한 인도는 오는 9월 진행될 예정이며, 향후파키스탄의 연간 LNG 수입량은 5년 이내에 최대 3천만 톤 증가할 것으로 예상

*The News https://bit.ly/2FJPewu 08.20


현지 비즈니스 환경 변화


ㅇ 인도정부, 코로나19로 여파 극복 위해 실업급여 규정 일부 완화

- 금일(21일) 현지 언론에 따르면, 인도 州보험공사인 ESIC는 특정기간* 내에 발생한 실업자를 대상으로 3개월 평균 임금의 50%를실업급여로 지급하고, 지급 시기를 기존 ‘실직 후 90일’에서‘30일’로 단축하는 등 관련 규정 일부 완화*해당 기간: 3월 24일부터 12월 31일 이내

- ESIC는 규정 완화를 통해 약 4백만 명의 근로자가 혜택을 받을 것으로 예상하며, 동 개정안은 ’21년 6월 30일까지 유효할 예정

*Firstpost https://bit.ly/31ebCpU 08.21

ㅇ 인도정부, 철강 수입기준 강화 등 포괄적인 자국산업 보호 정책 고안

- 20일(목) 현지 언론에 따르면, 인도정부는 철강 분야에서의 자국 산업보호를 위해 현재 215개인 모니터링 대상 제품을 확대하고, 국가표준인증(BIS) 기준 강화, 우회 수입 방지를 위해 기존 FTA 규정 재검토등의 다양한 무역 규제 방안 고안 중

- 더불어 정부는 현재 방산 분야에 도입한 오프셋(Offset) 조항을 자본재 및 자동차 부품 수입 분야로도 확대하여 자국 생산을 최소 30%이상 추가할 것을 목표

*Times Now https://bit.ly/3iUZnoe 08.20




Recent Posts

See All

1. 현대자동차, 인도에 럭셔리 브랜드 제네시스 출시 검토 현대자동차가 30년간 쌓아온 인도 시장에서 경험을 바탕으로 고급 자동차 브랜드인 제네시스(Genesis)를 인도에서 출시할 준비를 하고 있음. 현대차는 관세 등 높은 수입관련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인도 현지 공장에서 생산할 계획임. 김언수(Unsoo Kim) 현대차 인도법인장은 제네시스의 독특한 스

1. 인도 정부, 5G 네트워크 서비스 품질 표준 도입계획 인도 정부는 차세대 5G 네트워크 서비스 품질 표준(standards)을 발표할 계획임. 규제당국이 2G와 4G 네트워크 품질(통화 중단과 네트워크 속도 둔화 등)에 대한 불만을 표시한 가운데, 인도 통신규제위원회(Telecom Regulatory Authority of India, TRAI) 주도

1. 모디 총리, 인도 ‘통신 기술의 거대 수출국’으로 도약 추진 모디 총리는 지난 수요일, 차세대 6G 서비스 생태계 조성을 위한 글로벌 리더십 로드맵을 발표하는 자리에서 인도가 ‘소비자’가 아닌 통신 기술의 대형 수출국으로 탈바꿈할 것이라고 포부를 밝힘. 모디 총리는 “인도는 불과 120일 만에 125개 이상의 도시에서 5G 서비스가 개시되는 등 세계에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