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인도 일일동향 (2023.2.28)

1. 인도 상무부 장관, 한국 자동차기업이 무역적자 확대 초래 주장


피유시 고얄(Piyush Goyal) 인도 상무부 장관은 아시아 경제 다이얼로그(Asia Economic Dialogue) 행사에 참석해 현대·기아 등 한국 자동차 기업들이 자유무역협정(FTA)을 남용해 인도가 수십억 달러의 무역적자를 입었다고 주장함.


"한국 자동차 산업, 특히 현대와 기아는 인도가 한국, 일본과 맺은 FTA 혜택을 누리며 수입을 계속하고 있다”며 “이 기업들이 인도 투자를 충분히 하지 않은 결과, 인도는 심각한 무역적자에 시달리고 있다”고 강조함.


고얄 장관은 철강 산업 문제도 지적함. “한국과 일본은 인도로 철강 수출을 계속하고 있지만, 인도는 이들 국가에 철강을 1톤도 수출할 수 없는데 이는 자국 중심적 사고 때문”이라고 지적하며, “이러한 정신이 인도에는 없고, 만약 중국산 제품을 수입해 2%의 이익을 추가로 낼 수 있다면 우리는 기꺼이 중국에서 수입할 것”이라고 개탄한 것으로 알려짐.


출처:'Korean auto giants Hyundai, Kia have cost India billions of dollars in trade deficit, says Piyush Goyal', The Economic Times(2.27)



2. 모디 총리, 인도산 항공기 제조에 기대감 표출

모디 총리는 새로 건설된 시바모가 공항(Shivamogga Airport)을 개장한 뒤 가진 간담회에서 "인도에서 항공기에 대한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며 인도 시민들이 인도산 여객기만 타고 비행할 날이 멀지 않았다고 밝힘.

그는 신공항이 시바모가 개발에 물꼬를 틀 것이라고 기대감을 표명함.

국민회의당(Congress)를 비난하면서, 모디 총리는 2014년 인도 공항 갯수는 74개에 불과했으나, “9년 만에 인도인민당(BJP) 정부는 74개의 공항을 추가로 건설했다"라고 강조함.

한편, 모디 총리는 가난한 사람들을 위한 저렴한 항공 여행을 보장하기 위해 지역간연결계획정책인 UDAN (Ude Desh ka Aam Naagrik) 확장 계획도 발표함.

출처:'Made-in-India planes not a distant dream: PM Modi', The New Indian Express(2.28)



3. 에사르 그룹, 인도와 영국 에너지 전환 프로젝트에 36억 달러 투자 계획

인도 대기업인 에사르 그룹(Essar Group)은 지난 월요일 인도와 영국의 다양한 에너지 전환 프로젝트에 36억 달러를 투자할 계획이라고 밝히며, 기업 내 저탄소 투자 그룹 ‘에사르 에너지 전환(EET)’을 출범시킴.

對인도 투자는 저탄소 연료를 위한 비용 효율적인 글로벌 공급 허브를 개발하는 데 초점이 맞춰질 것이며, 녹색 수소에 대한 세계적인 수요를 충족시킬 것이라고 기대감 표명. 인도 투자 계획은 정부의 녹색 수소 생산 및 수출의 선도적인 글로벌 허브로 자리매김하는 것을 돕기 위해 고안된 지원 규제 프레임워크에 따라 추진된다고 회사는 덧붙였음.

한편 에사르 그룹은 EET 외에도 인도에 LNG 밸류체인을 만들고 오디샤(Odisha)에 펠릿 생산공장을 설립하기 위한 투자를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짐.

출처:'Essar floats transition arm with $3.6bn India, UK plans', The Times of India(2.28)



4. 코로나19 업데이트

인도는 금일 168명의 신규 코로나 확진자가 발생했으며, 사망자는 없음.

신규 확진자는 케랄라 34명, 카르나타카 59명, 마하라슈트라 12명 등 여전히 낮은 확진자가 발생하고 있음. 그 외 타밀나두 17명, 텔랑가나 17명, 하리아나 3명, 웨스트 벵갈 3명을 기록. 현재 코로나19 확진자 숫자는 케랄라 1,301명, 카르나타카 280명, 오디샤 70명, 마하라슈트라 180명 등으로, 그 외 타밀나두 91명, 웨스트 벵갈 31명, 텔랑가나 90명, 델리 10명으로 나타남.

Recent Posts

See All

1. 인도 중앙은행, 오는 4월 기준금리 6.75%로 인상 전망 인도 중앙은행(RBI)는 인플레이션에 대응코자 다음 주 기준금리(repo rate)를 6.5%에서 6.75%로 인상할 전망임. 이로써, 2022년 5월 4.0%에서 6회 연속 총 2.75%가 인상될 것으로 예상됨. 기준 금리 인상시 대출금리도 인상되면서 견조한 펀더멘탈에도 불구하고, 시장 수요

1. 인도 상품-서비스 수출, 7,600억 달러 기록 예상...역대 최고치 기록 전망 피유시 고얄(Piyush Goyal) 인도 상무부 장관은 지난 화요일 인도 상공회의소(ASSOCHAM) 연례회의에서 인도 상품 및 서비스 수출액이 역대 최고인 7,500억 달러를 넘어섰으며 이번주 금요일을 기점으로 7,600억(전년대비 12.4% 증가) 달러를 돌파할 것으

1. SVB 등 은행권 사태로 인도 IT 업계 채용 둔화 예상 미국과 유럽 소재 글로벌 은행 위기가 인도 IT 산업에도 부담을 줄 가능성이 있음. IT 산업은 다음 회계연도에 순인력 증가율(net headcount growth)이 절반 가까이 줄고, 인사전략에도 구조적인 변화가 있을 것으로 예상됨. 인도 IT산업은 은행·금융서비스·보험(Banking, fi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