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인도 일일동향 (2023.2.15)

1. 인도 도매 물가, 지난 2년 중 최저치 기록


일부 식품 및 연료의 가격이 최근 하락함으로써, 지난 1월 인도의 도매물가는 최근 2년 중 최저치를 기록함. 반면 소매물가는 곡물, 계란, 육류, 우유 등의 가격 상승으로 지난 3개월 내 만에 최고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남.


인도의 상공부가 발표한 도매가격지수(WPI) 상승률은 4.7%로 전달의 4.9%보다 소폭 하락한 것임. 이는 광물유, 화학 및 화학 제품, 섬유, 원유 및 천연가스 및 식품의 가격하락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고 인도 상공부가 발표함.


18개월 연속으로 두 자릿수 상승률을 기록하고 있던 인도의 도매가격지수는 22개월 만에 처음으로 5% 이하 수준으로 떨어진 것으로 나타남.


출처:'Wholesale inflation eases to near 2-year low of 4.7%', The Times of India(2.15)



2. 인도의 러시아산 원유수입이 확대될수록 루피화 결제 계획에 부담 증가


지난 11월까지 8개월 동안 인도의 러시아산 원유 수입이 대러시아 수출의 약 16배를 기록하면서 무역적자가 크게 늘어나고 있어, 원유를 루피화로 결제하려는 인도정부 계획에 피해가 발생함.


러시아 은행들은 루피화가 지나치게 쌓이는 것을 원치 않기 때문에, 현재까지 루피화 결제는 이뤄지지 않은 상황임. 러시아산 원유수입과 대러시아 수출액 차이가 커지는 상황에서 루피화 결제가 지연되고 있어 루피화에 대한 압박이 가중될 가능성이 있음. 루피화는 지난 1년 동안 아시아 신흥국 통화 가운데 달러 대비 가장 많이 가치가 절하됨.


또한 국가간 고정 환율이 없기 때문에 루블화 결제도 쉽지 않은 상태임. 인도 최대 민간기업 릴라이언스 인더스트리(Reliance Industries Ltd), 국영석유기업 바라트페트롤리엄(BPCL) 외 석유기업들은 서방의 제재를 우회할 수 있는 UAE 디르함으로 결제 중임.


인도는 지난 7~9월 경상수지 적자가 사상 최대치를 기록한 이후, 달러 수요를 줄이고 인도 경제가 글로벌 충격에 덜 취약해질 수 있도록 루피화 글로벌화에 노력 중임.


인도 중앙은행(RBI)은 지난 7월 국제무역을 위한 루피 결제 시스템을 공개했지만, 아직까지는 주로 방위장비 수입품 결제에 국한되어 사용되는 중임.


출처:'Will the cheap Russian oil impact India's rupee trade plans?', The Times of India(2.15)



3. 에어 인디아, 보잉과 에어버스와 역사적 계약 체결


인도 국영 항공사인 에어인디아(Air India)가 유럽 항공기 제조사인 에어버스(Airbus)와 미국 항공기제조업체 보잉(Boeing)사에 각각 250대와 290대의 항공기를 주문함으로써 초대형 계약에 합의함.


보잉은 에어인디아에 B737 MAX 190대와 B787 드림라이너 20대, B777X 10대 등 총 220대의 항공기를 공급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힘. 이번 계약에는 B737 MAX 50대, B787 드림라이너 20대를 추가 구매하는 고객옵션이 있어 옵션이 모두 실행될 경우 총 수주물량은 290대에 달할 것이라고 발표함.


출처:'PM Modi, Joe Biden hold telephonic conversation after 'landmark' Air India-Boeing deal', Hindustan Times(2.15)



4. 코로나19 업데이트

인도는 금일 101명의 신규 코로나 확진자가 발생했으며 약 2명의 사망자를 기록.

신규 확진자는 케랄라 25명, 카르나타카 21명, 오디샤 2명, 마하라슈트라 14명 등 여전히 낮은 확진자가 발생하고 있음. 그 외 타밀나두 6명, 텔랑가나 7명, 하리아나 1명, 웨스트 벵갈 6명을 기록. 현재 코로나19 확진자 숫자는 케랄라 1,247명, 카르나타카 122명, 오디샤 88명, 마하라슈트라 89명 등으로, 그 외 타밀나두 47명, 웨스트 벵갈 37명, 텔랑가나 27명, 델리 13명으로 나타남.

Recent Posts

See All

1. 인도 중앙은행, 오는 4월 기준금리 6.75%로 인상 전망 인도 중앙은행(RBI)는 인플레이션에 대응코자 다음 주 기준금리(repo rate)를 6.5%에서 6.75%로 인상할 전망임. 이로써, 2022년 5월 4.0%에서 6회 연속 총 2.75%가 인상될 것으로 예상됨. 기준 금리 인상시 대출금리도 인상되면서 견조한 펀더멘탈에도 불구하고, 시장 수요

1. 인도 상품-서비스 수출, 7,600억 달러 기록 예상...역대 최고치 기록 전망 피유시 고얄(Piyush Goyal) 인도 상무부 장관은 지난 화요일 인도 상공회의소(ASSOCHAM) 연례회의에서 인도 상품 및 서비스 수출액이 역대 최고인 7,500억 달러를 넘어섰으며 이번주 금요일을 기점으로 7,600억(전년대비 12.4% 증가) 달러를 돌파할 것으

1. SVB 등 은행권 사태로 인도 IT 업계 채용 둔화 예상 미국과 유럽 소재 글로벌 은행 위기가 인도 IT 산업에도 부담을 줄 가능성이 있음. IT 산업은 다음 회계연도에 순인력 증가율(net headcount growth)이 절반 가까이 줄고, 인사전략에도 구조적인 변화가 있을 것으로 예상됨. 인도 IT산업은 은행·금융서비스·보험(Banking, fi

bottom of page